[자료구조] 스택(연결리스트 이용) - push, pop 안녕하세요. PEACE-입니다. 자료구조 스터디 [네 번째] 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스택 구현입니다. 연결리스트의 개념을 반드시 알고있어야하며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선형 연결리스트 - 삽입, 삭제(Last) : http://mailmail.tistory.com/24 1. 스택 스택이란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 가장 최근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며 흔히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이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은 호출이 일어나면 스택에 함수에 대한 정보가 push되고 함수의 끝이나 return을 만나면 함수가 종료되면서 pop을 통해 나중에 호출된 함수가 스택에서 빠져나옵니다. 2. 스택구현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스택 구현은 스택의 크기가.. 자료구조 8년 전
[자료구조] 스택(배열 이용) - push, pop 안녕하세요. PEACE-입니다.자료구조 스터디 [세 번째] 글입니다. 1. 스택 스택이란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 가장 최근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며 흔히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이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들겠습니다. 재귀적 함수의 작업 수행 중에 함수의 호출이 일어나면 스택에 함수에 대한 정보가 push되고 함수의 끝이나 return을 만나면 함수가 종료되면서 pop을 통해 나중에 호출된 함수가 스택에서 빠져나옵니다. 2. 스택 구현 배열은 사이즈가 정해져있습니다. 현재 데이터의 위치를 알기 위해 top이라는 변수를 사용합니다. 스택 포인터라고도 합니다. 또한 push 메서드는 스택(배열)에 데이터를 넣는.. 자료구조 8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