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스택(연결리스트 이용) - push, pop 안녕하세요. PEACE-입니다. 자료구조 스터디 [네 번째] 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스택 구현입니다. 연결리스트의 개념을 반드시 알고있어야하며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선형 연결리스트 - 삽입, 삭제(Last) : http://mailmail.tistory.com/24 1. 스택 스택이란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 가장 최근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며 흔히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이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은 호출이 일어나면 스택에 함수에 대한 정보가 push되고 함수의 끝이나 return을 만나면 함수가 종료되면서 pop을 통해 나중에 호출된 함수가 스택에서 빠져나옵니다. 2. 스택구현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스택 구현은 스택의 크기가.. 자료구조 8년 전
[JAVA] ArrayList와 add() addAll() 사용 안녕하세요. PEACE-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ArrayList와 내장 함수인 add(), addAll()를 알아보겠습니다. 1. ArrayList ArrayList란 단순 배열과는 조금 다르다. 자바에서 보통 배열은 객체 생성시 사이즈를 지정해주는데 ArrayList는 사이즈의 제한이 없다. 즉, 동적인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ArrayList는 배열과 같이 순서를 가지며 데이터를 출력할때 Index를 사용한다. ArrayList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add 메서드 사용과 addAll 메서드 사용이 있다. ArrayList를 정의할 때 저장할 데이터 형식은 Wrapper Class의 형식으로 지정한다. 2. add() ArrayList에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add.. 자바 8년 전
[자료구조] 선형 연결리스트 - 삽입, 삭제(Last) 안녕하세요. PEACE- 입니다.자료구조 스터디 [두 번째] 글입니다. 1. 연결리스트 노드란 데이터와 다른 노드를 가리키는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결리스트는 데이터 구조로써 노드간의 연결로 이뤄진 데이터 구조를 말합니다. HEAD는 첫 번째 데이터가 담긴 노드를 가리키며 연결리스트를 식별할 수 있고 연결리스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HEAD를 통해 삽입, 삭제 기능 구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리스트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고 삭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맨 앞에 데이터를 삽입하고 맨앞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2. 삽입 (Last) 맨 끝에 노드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하지만 두가지.. 자료구조 8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