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 해시함수, 해시테이블 해시(HASH)해싱란 간단히 말해 임의로 일정한 규칙을 정해 'A->B' 변형 시키는 것을 말한다. 항상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만들며 변형된 결과 값 B는 해시 값, 또는 해시코드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변형 시키는 알고리즘을 구현한 함수를 해시함수라고 칭한다. 정말 쉽다. 그리고 해시함수 안의 알고리즘은 구현하기 나름이다. 누구나 구현할 수 있지만 해싱의 비효율을 불러일으키는 충돌을 줄이는 해시함수를 누구나 구현하기란 쉽지 않다. 여기서 중요한 특징이 있다. 같은 해시함수(알고리즘 유지)를 거친다면 특정 인풋 값에 대한 아웃풋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다. 지금 간단한 해시함수 하나를 구현하려한다. 해시함수를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정의하겠다. 3으로 나눈 나머지가 색인(Index)가 되기 때문에 그에 맞게.. 자료구조 7년 전